본문 바로가기

한글성경 번역의 역사

한글성경 번역의 역사 (1) 서론: 성경 번역과 한국어·신앙의 만남

한글성경 번역의 역사 (1) 서론: 성경 번역과 한국어·신앙의 만남

 

1. 언어와 신앙이 교차하는 역사적 현장

성경 번역은 단순히 한 종교의 교리를 옮겨 적는 작업이 아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성경이 한국어로 번역된 과정은 한글이 본격적으로 사회 속에서 자리 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한글은 15세기 세종대왕이 창제했지만, 오랫동안 학문과 행정에서는 한문이 우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대중적 활용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19세기 후반 성경이 한국어로 번역되면서 한글은 지식 전달의 주요 도구로 재발견되었다. 성경 번역자들은 단어 하나를 선택할 때에도 신학적 의미와 한국인의 사고방식, 그리고 구어적 표현을 모두 고려해야 했다.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언어의 민주화와 글쓰기 문화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영어권 학자들도 Korean Bible translation을 “a linguistic turning point in Korean modernization(한국 근대화에서 언어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성경 번역은 단순히 신앙적 사건이 아니라 언어사와 민족사의 중요한 이정표였다.

2. 근대 교육과 민족 정체성 형성에 끼친 영향

한글 성경은 근대 교육과 민족 정체성 형성에도 커다란 기여를 했다. 번역된 성경은 단순히 교회 안에서 읽히는 책이 아니라, 글을 배우려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문해력을 길러주는 교재로 사용되었다. 교회는 자연스럽게 학교 역할을 했고, 성경은 교과서와 같은 기능을 담당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인이 스스로 자신의 언어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서구적 가치와 한국적 사고가 융합되는 통로가 되었다. 더 나아가 성경 번역 과정에서 선택된 단어와 표현들은 민족적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예컨대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신학적 논쟁을 넘어 한국인의 종교적 세계관을 대표하는 언어적 선택이 되었다. 미국과 영국 선교사들이 주도했지만, 한국인 번역자와 협력자들의 참여는 단순한 수용을 넘어 창조적 재해석으로 이어졌다. 영어 학계에서는 이를 “translation as indigenization(번역을 통한 토착화)”라고 부르며, 한국 성경 번역의 독창성을 높게 평가한다.

 

3. 언어적 선택과 문화적 조율의 의미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언어적 선택은 단순히 어휘 문제를 넘어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는 작업이었다. 예를 들어 ‘God’을 ‘하나님’으로 번역한 것은 서구 기독교의 개념을 한국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한 대표적 사례다. 만약 단순히 ‘신(神)’으로 번역했다면 불교나 유교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혼동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복음서에 등장하는 ‘grace(은혜)’나 ‘salvation(구원)’과 같은 개념은 당시 한국인에게 생소한 단어였기에, 번역자들은 문맥과 문화적 이해를 고려해 적절한 표현을 찾아야 했다. 이러한 번역의 결과물은 한국인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언어적 기반이 되었으며, 이후 한국 문학과 교육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 영문 학계 자료에서도 Korean Bible translation은 “a process of cultural negotiation(문화적 협상의 과정)”으로 정의되며, 단순한 언어 변환이 아닌 정체성 구축의 행위로 해석된다.

 

4. 신앙 공동체와 한국 사회에 남긴 유산

한글 성경 번역의 서론적 의미를 요약하자면, 그것은 신앙과 언어, 그리고 사회 변화를 동시에 견인한 사건이었다. 성경은 한국어를 통해 읽히면서 신앙 공동체를 형성했고, 공동체는 다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냈다. 한글 성경은 민중에게 읽고 쓰기를 가르쳤으며, 나아가 해방과 독립을 향한 사상적 토대에도 영향을 주었다. 교회와 성경 번역은 단순히 종교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연대와 민족적 각성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했다. 현대에 들어서도 한글 성경은 단순한 신앙의 텍스트가 아니라, 한국어 발전과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종교학자 Andrew Walls는 “The Korean Bible is not only a religious text, but a national archive of identity(한국어 성경은 종교 문헌일 뿐 아니라 정체성의 민족적 기록)”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처럼 한글 성경 번역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라 할 수 있다.